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ngress
- game
- 게임
- MySQL
- 구글
- PERL
- 요리
- 맥북
- 공략
- 맛집
- Installation
- Mac
- Java
- IntelliJ
- 아이폰
- 클리어
- 설치
- Linux
- Python
- 닌텐도스위치
- OSX
- arduino
- 프렌즈런
- 쿠팡
- 이마트트레이더스
- 카카오
- 판교
- 인그레스
- 유튜브
- Today
- 131
- Total
- 3,480,087
목록돈이야기 (12)
준호씨의 블로그

어제 알 수 없는 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더군요. 02-432-4111. 빠르게 구글링 해 보니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이더군요. 전화를 받아보았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입이 입금되었는데 다음 달부터는 $100 이상은 수수료가 붙는다고 합니다. 얼마 정도 붙냐고 하니 현재 환율 기준으로 $9 정도 될 거라고 합니다. 전화를 끊고 찾아보니 공지가 올라와 있네요. 예전에는 $300 미만인 경우 수수료 면제였는데 $100 미만으로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가 $100 넘으면 보내주기 때문에 이제 무조건 수수료가 부과되겠습니다. 그동안 수수료 무료로 잘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수수료를 지불하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스탠다드차타드에 수수료가 생기긴 했는데요. 바뀐 조건에서 어떤 은행이 가장 좋을까 좀 고민이 되..

오늘 뜬금없이 5만 원이 결제되더군요. 카드는 내가 가지고 있는데? 누군가 제 카드를 해킹이라도 한 걸까요? 카드 앱에 들어가서 조회를 해 봐도 N_NICE결제라고만 나와있지 뭘 결제했는지는 알 수가 없더군요. 카드사에 전화해서 이거 무슨 내역이냐고 물어보니 02-1661-0808 전화번호를 알려 주면서 거기서 확인해 보라고 합니다. 전화번호를 검색해 보니 NICEPAY라고 하네요. www.nicepay.co.kr/ NICE PAY 0411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17 크레디트센터 7층 나이스페이먼츠㈜ Copyright@2017 NICEPAY. All rights reserved. www.nicepay.co.kr 나이스 페이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거래내역 조회가 있습니다. 이상한 건 거래내역이 ..

신용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카드 포인트가 쌓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 카드 포인트 활용하자니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카드 중에는 쌓인 포인트를 주기적으로 계좌로 환급해 주기도 하는 카드도 있지만 대부분 어떻게 쌓이는지 잘 안 보다가 소멸되기도 합니다.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 홈페이지 www.cardpoint.or.kr 여신금융협회에서는 쌓여 있는 카드 포인트들을 모아서 환급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본인인증을 하고요. 시키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적립된 카드 포인트들을 알려줍니다. 아니? 삼성카드에 무려 147,479원이나 쌓여있군요. 삼성카드를 많이 쓰는 편이라 어느 정도 쌓였으리라고 생각은 했지만 생각보..

어제는 오랜만에 해외주식을 좀 구입해 보았습니다. 예전에 토스 해외주식을 종종 이용했었는데요. 신한증권 제휴 서비스였는데 올해 까지만 제휴하고 종료한다고 해서 앞으로 해외 주식 거래를 어떻게 할까 고민했었는데요. 마침 카카오 뱅크에서 한국투자증권과 제휴해서 해외주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사용 방법은 카카오 뱅크 앱에서 우측 하단에 있는 "더보기"탭으로 들어가서 "제휴 서비스 - 해외주식 투자"를 선택하면 됩니다. 가입이 진행되고 준비를 마치면 처음 사용자를 대상으로 만원치 해외 주식을 그냥 주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언젠간 끝나겠지만 아무튼 공짜로 주식을 받아서 좋네요. 저는 애플 8,000원과 구글(알파벳 A 주) 2,000원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한 달에 1만 원씩 10회는 무료 수수료 ..

2012년 9월 24일 방송인데 다시 업로드했네요. 예전에도 봤었던 영상인데 지금 같은 시기에 다시 봐 두면 좋을 영상인 거 같습니다. 돈을 너무 많이 찍어 내면 2008년 짐바브웨 하이퍼인플레이션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자를 갚으려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합니다. 그런데 누군가 돈을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옵니다. 요즘 인플레이션이 극에 다다르고 있는 거 같은데요. 언제 디플레이션이 와도 이상하지 않는 시기라 조심해야 될 시기입니다. 모기지론은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까지 돈을 빌려주었고 부동산이 폭락하고 빚을 갚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 장면에 댓글들이 이때 집을 샀어야 했다는 반응이 많은데요. (이때 샀어도 돈 벌고 최고 더 좋은 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