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맥북 (45)
준호씨의 블로그

2022년 8월 Stable Diffusion 모델이 공개되면서 Stable Diffusion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여럿 나왔습니다. 모델 파일을 받아서 내 컴퓨터에서 직접 구동해 볼 수 있는 방법들도 있는데요. 그중 대표적인 것이 stable diffusion webui 입니다. 하지만 윈도우OS 환경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Mac OSX 환경에서 설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행히도 Mac OSX 환경에서 Stable Diffusion을 쉽게 실행시킬 수 있는 앱이 있습니다. 바로 DiffusionBee입니다. 오프라인 환경에서 무료로 무제한으로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맥북의 성능이 좋지 않다면 실행이 어려울 수 있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맥에서 한글을 한자로 변환하려면 Option + Enter를 누르면 됩니다. 한자 키가 있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한자 키를 한자 변환키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Karabiner-Elemen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brew install --cask karabiner-elements 설치하고 아래 링크를 클릭합니다. [Karabiner-Elements에 한자키 적용하기]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나면 "Open Karabiner-Elements"를 누릅니다. Karabiner-Elements에 Complex Modifications에 룰을 Import 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Import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왼쪽에 보이는 "Enable"을 눌러주면 됩니다. 한자 키 설정이 ..

요약: 뚜껑 열고 케이스 뒤쪽에 있는 버튼을 꾸욱 길게 누르고 흰색 불이 깜빡깜빡거릴 때 맥북에서 블루투스로 연결합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사용하면 에어팟프로 케이스만 열어도 자동으로 연결화면이 나타나서 편리하게 연결을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맥북에서는 이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 주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맥북은 2019년형 맥북프로이고 Monterey O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블루투스 연결 방식으로 연결해야 되는데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맥북 플루투스 활성화 System Preferences -> Bluetooth 설정을 열어 줍니다. ⌘(cmd) + Space로 Spotlight 열고 bluetooth 입력해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Blueto..

디스크 용량이 점점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이미 조금은 정리했지만 대충 여유공간이 4% 정도라 금방 다 찰 거 같습니다. 오랜만에 또 디스크 정리를 해 봅니다. (마음은 그냥 1TB로 늘려버리고 싶...) 일단 Disk Inventory X를 실행합니다. 어디서 많이 먹고 있는지 확인하기 좋은 툴입니다. 분석 돌리고 나면 어디서 용량을 많이 먹고 있는지 나타납니다. jetbrain 툴 사용하다가 에러 나서 덤프 떠진 파일 같은데 삭제합니다. jetbrain 툴들 업데이트 후 남아 있는 구 버전 파일들이네요. 오래된 애들은 적당히(?) 알아서(?) 잘(?) 제거해 주면 좋겠지만 아무튼 제거해 줍니다. brew cleanup 참고: https://junho85.pe.kr/629 osx - brew cleanu..

gz로 압축된 로그파일을 zcat으로 열어 보려고 하니 오류가 발생합니다. $ zcat merged.gz zcat: can't stat: merged.gz (merged.gz.Z): No such file or directory 여러 가지 해결 방안이 있습니다. $ gzcat merged.gz $ cat merged.gz | zcat $ zcat < merged.gz 혹시 뭔가 잘 안되면 brew install coreutils 해서 GNU Utils를 설치합니다. 리눅스에서는 그냥 잘 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