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크리에이터 (57)
준호씨의 블로그

제가 업로드했던 영상중 색상톤이 엉망인 영상이 있는데요. 아이폰에서 HDR로 촬영한 영상이었습니다. 아래는 문제의 영상입니다. 이후로는 그냥 HDR 기능을 끄고 촬영을 하고 있었는데요. HDR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할 때 작업 생상 공간 설정을 잘 맞춰주면 되지만 저처럼 게으른 편집자에게는 너무나 귀찮은 작업이었습니다. 언젠가 동영상 편집 도구들이 HDR을 쉽게 다룰 수 있게 될 때 HDR로 촬영할지를 생각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프리미어프로에서 자동 톤 매핑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출처: https://helpx.adobe.com/kr/premiere-pro/using/whats-new/2023-2.html 기능 요약 | Premiere Pro(2023년 2월 업데이트) Premiere..

아이폰으로 찍은 영상을 어도비 프리미어프로로 편집한 다음 내보내기 했더니 색상이 달라집니다. 이와 관련된 해결 방법들을 정리해 봅니다. HDR영상 설정 시퀀스 설정 - 시퀀스 설정의 경우 알아서 잘 적용됩니다. Lumetri 색상 - 좀 더 색상을 강조할 수 있지만 따로 설정해 주지 않아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Export (내보내기) -> Preset (사전 설정) -> "HEVC - Match Source (소스 일치) - HLG" ㄴ 안 보이면 "More presets...(더 많은 사전 설정..)"에 들어가서 찾습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빠르크의 3분 강좌 채널의 영상을 보면 도움이 됩니다. 글로 정리된 내용도 있습니다. https://www.park3min.com/823 프리미어프로에서 아..

아침에 눈이 펑펑 내렸습니다. (그런데 벌써 그쳤네요) 눈이 내리는 모습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슬로모션으로 영상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눈이 올라가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려고 Reverse를 적용했습니다. vllo에서는 reverse하니 화질 저하가 생겨서 맥북으로 옮겨서 iMovie에서 reverse를 적용해서 추출한 다음 다시 휴대폰으로 옮겨서 편집했습니다. 음악과 필터를 입혀주었습니다. 음악은 보통 볼륨 50% 정도로 줄여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참고로 대화가 들어가면 10% 정도로 줄이는 편) 색상이 칙칙해서 약간 푸르스름하게 나오도록 필터를 적용했습니다. 느린 영상이라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은 5초로 넉넉하게 주었습니다.

유튜브 영상을 마지막으로 올린 지 1년이 다 되어가네요. 구독자가 조금씩 올라서 600명이 넘을지는 꽤 되었는데 셀프 축하 영상을 이제야 올립니다. 600명 축하 영상 어떻게 만들지 고민하던 차에 SNS에서 짐벌 광고하는 것을 보다가 짐벌 하나 질러서 짐벌 기능을 이용해서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실 짐벌 말고도 이런저런 아이템들을 조금씩 사 모았고 사고 싶은 아이템들이 더 있지만 천천히 알아보고 있습니다. 사실 장비보다도 콘텐츠가 중요한데... 실력이 안되니 장비라도... 쿨럭...

프리미어 프로에는 목소리를 바로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Voice-over record 기능입니다. 영상에 내레이션을 추가하기 유용한 기능입니다. 영상을 편집하다 보니 중간에 말로 설명을 넣는 것이 좋겠다 싶으면 바로 녹음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환경에 따라 내가 녹음하고 있는 목소리가 녹음 중에 바로 재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녹음하는 도중에 0.5초 정도 뒤에 자신의 목소리가 따라 들리니 상당히 거슬리더군요. 다행히 설정에 끄는 기능이 있었습니다. Edit -> Preferences -> Audio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Mute input during timeline recording"을 선택해 주면 녹음 중인 소리가 재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은 왜 넣어둔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