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SL2 (3)
준호씨의 블로그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그리고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Jupyter Lab은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원격 서버에서 무거운 작업을 처리하고자 할 때, Jupyter Lab을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격 서버에서 Jupyter Lab을 실행하고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하겠습니다.1. Jupyter Lab 설치원격 서버에 Jupyter Lab을 설치합니다.$ conda install -c conda-forge jupyterlab 만약 conda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pip로 설치합니다.$ pip install jupyterlab 설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문서를 참고합니다. 2. Jupyter Lab 설정 파일 생성기본..

WSL2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외부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를 사용하면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WSL2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하기 때문에, WSL2 내부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예: 웹 서버)에 외부 클라이언트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면 외부 클라이언트가 WSL2의 서비스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WSL2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려면, 윈도우의 netsh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습니다.WSL2 IP 확인먼저, WSL2의 IP 주소를 확..

요즘 LLM을 이것저것 시험해 보고 있습니다. 맥에서 ollama를 종종 시험해 보곤 하는데요. 맥의 자원을 아끼기 위해 데스크톱에서 ollama를 구동시키고 맥에서는 데스크톱의 ollama를 호출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성공했는데 설정할 것들이 꽤 많았습니다. WSL2 설정systemd 설정ollama 원격 접속 설정sshd 설정 포트포워딩 설정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 설정 차라리 데스크톱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언젠가 설정 방법들도 포스팅해 볼까 합니다.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