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ERL
- 닌텐도스위치
- 이마트트레이더스
- 인그레스
- 맥북
- 구글
- 요리
- game
- Ingress
- Mac
- 프렌즈런
- Java
- 카카오
- 공략
- 클리어
- 유튜브
- 맛집
- Installation
- IntelliJ
- 포탈
- arduino
- Linux
- 게임
- 아이폰
- 판교
- 설치
- Python
- OSX
- Today
- 697
- Total
- 3,227,542
목록history (3)
준호씨의 블로그
MongoDB와 관련된 Timeline을 정리해 보고 있습니다. Timeline creator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슬라이드: https://slides.com/eungjun/rest rest A presentation created with Slides. slides.com 4년 정도 지난 영상이지만 REST API를 작성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면 이 영상을 한번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영상을 보고 나면 내가 작성했던 API는 REST API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REST API와 비슷하게 만든 Web API였을 뿐입니다. 여러 제약조건이 있는데 적어도 Self-descriptive와 HATEOAS를 만족하게 만들고 있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REST API라고 부른다고 잡혀가는 건 아니지만 REST API을 정의한 로이 필딩이 싫어할 것입니다 ^^;
github 에서 commit 내역을 보면 가끔 indent 수정으로 인한 diff 결과가 보기 싫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경우이다. https://github.com/junho85/git-study/commit/06baa82895093dba05c0674598068f3fb55455a0 사실 printf("nice to meet you\n"); 와 return 0; 는 공백만 변경 되었을 뿐 내용의 변화는 없다. #include int main() { - printf("nice to meet you\n"); - printf("hello world"); - return 0; + printf("good to meet you\n"); + printf("nice to meet you\n"); +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