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호씨의 블로그
얼마전 TLS 관련 작업을 하면서 RFC2246 을 읽다가 번역 해 보려고 gist 를 만들어 보았다. 언젠간 번역 할 수 있겠지... 그나저나 gist 에디터가 사이즈 조절이 안되어서 너무 불편... 그냥 github 에 올리면서 작업할까 싶기도 함.
에버노트에 이미지 붙여 넣을 때 원본사진으로 몇개 붙여 넣다 보면 금방 용량을 다 써 버린다. 나는 무료 이용자라서 한달에 60MB 제한이 있다. 휴 벌써 15%나 썼다. 처음엔 Preview 앱을 이용 했다 이미지 사이즈를 조정해서 붙여 넣으면 좋겠는데 처음에 사용한 방식은 Preview 앱에서 사이즈를 조정 하는 것이었다. Cmd + n 하면 클립보드에 있는 내용이 나타나고 Tools 의 Adjust Size 에서 사이즈를 직접 조정 할 수 있다. 하지만 꽤 번거로운 작업이다. Adjust Size 단축키도 없고 사이즈를 손으로 직접 넣어야 되어 오타를 칠 위험도 있다. 게다가 새로운 이미지를 캡쳐 할 때 마다 창이 새로 뜨고 창을 닫을 때 마다 일일이 저장하지 않는다고 선택 해 줘야 되어서 번거롭다..
blogger 블로그에 가로 640 사이즈 사진을 올렸더니 이 모양이다. 설정 화면의 Template 에 가 보면 Customize 라는 항목이 있다. Advanced -> Add CSS 들어가서 아래 내용을 추가 해 준다. max-width 는 아래 미리보기에 나오는 화면을 보면서 적당히 조절 해 주면 된다. .post-body img { max-width:560px; max-height:auto; } 이제 잘 나온다.
blogger 블로그에 google adsense 를 설치 하는 과정을 정리 해 보았다. 일단 관리 페이지에서 Earnings 화면으로 들어간다. 블로그 개설한지 얼마 안되어서 그런지 아직 권한이 없는 거 같다. (일단 대기) 2016.04.08 에 안되었는데 2016.05.04 에 재시도 해 보니 된다. (언제즈음 부터 된 건지는 모르겠음) adsense 에도 미리 블로그 주소를 추가 해 둔다. adsense 설정은 생략한다. Sign up for AdSense 버튼이 활성화 되어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기본 설정에서 AdSense 배치 활성화 되고 나면 다음과 같이 기본 배치를 어떻게 할 지 설정 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글 아래와 사이드바에 나타내는것을 추천한다. 입맛대로 고른다. 만약 ..
2nd son is crying 1st son is also crying by my macbook camera
친구의 질문. java 에서 char 데이터가 int 로는 타입 캐스팅 되는데 short 로는 안되는 이유? 인터넷 찾아 보니 char 는 unsigned 도 short 는 signed 라서 안된다고 함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5058859/short-and-char-type-in-java char 는 0 to 2^16 - 1 (0 to 65535) short 는 -2^15 to 2^15 - 1 (−32,768 to 32,767) 좀 안 와 닿을 수 있는데 http://cafe.naver.com/javachobostudy/21 를 보면 아래와 같은 말이 있다. short과 char은 모두 2 byte의 크기를 갖지만, short의 범위는 -215 ~ 215-1(-3..
나프다 듣다가 haskell 설치 해 보기로 함. 예전에도 설치 했던 거 같긴 한데... 그리고 haskell 의 미국식 발음은 해스컬이라고 함. 한국이나 일본은 하스켈이라고 발음하고 있음. 여기 가서 다운 받아서 설치 한다. https://www.haskell.org/platform/mac.html 예전 버전 삭제. 이번에 설치 된 건 7.10.3 $ sudo uninstall-hs only 7.10.2 --remove -- Removing just version 7.10.2 예전엔 뭐하느라 설치 했던 걸까 설치가 되면 file:///Library/Haskell/doc/start.html 페이지가 뜸 7.10.2 를 지웠고 7.10.3 이 선택 되어 있음. $ sudo activate-hs Haskel..
얼마전 외장 HDD 1TB 짜리를 하나 구입 했는데 NTFS 으로 파티션이 구성 되어 있어서 osx 에서는 읽기전용으로 나타났다. info 정보를 보면 You can only read 라고 나타난다. Mounty 도전. 실패 검색 해 보니 Mounty 라는 프로그램이 보였다. http://macnews.tistory.com/3043 mount 커맨드에서 read/write 가 되도록 커맨드를 날려 주는 프로그램인데 osx 에서 NTFS 사용이 불안정 해서 날려 먹을 위험성이 있다고 함. 게다가 엘케피탄 쓰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도 않았다. osx 가 버전업 하면서 아예 mount 커맨드에서 해당 옵션을 지원하지 않도록 바꿨나 보다. 외장 HDD 홈페이지 정보 검색 http://www...
아래 블로그에 가면 스크립트를 구할 수 있다. https://bigbangtrans.wordpress.com/series-1-episode-1-pilot-episode/ 영상은 여기 저기서 찾을 수 있지만 유튜브에 올라온 짧은 클립들이 무난하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7YqQn8EcK8lplPD5iRDT31eTI5z0eo0F
리눅스 쉘에서 GET 이라는 명령어가 있는 곳도 있고 없는 곳도 있는데 이게 뭐하는거냐 하면 http request 요청 하는 명령어이다. 설치 되어 있다면 /usr/bin/GET 에 있을 것이다. GET 'http://www.daum.net' 하면 html 내용을 쉘에서 볼 수 있다. json 리턴 해 주는 API 같은거 간단히 테스트 해 볼 수도 있다. (curl 같은게 더 나을지도) 아무튼 GET을 설치 하는 방법 다음 방법중 아무거나 되는거로 하면 된다. cpan LWP yum install perl-libwww-perl yum perl-libwww-perl.noarch 그런데 구 서버에서는 /usr/bin/GET 인데 언젠가 부터 lwp-request 로 바꼈다. 굳이 GET 으로 사용 하고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