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이야기 (500)
준호씨의 블로그

터미널에 kubernetes의 context, namespace 정보를 띄워주는 방법들을 정리합니다. context, namespace를 다양하게 사용할 때 실수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kube-ps1 https://github.com/jonmosco/kube-ps1 GitHub - jonmosco/kube-ps1: Kubernetes prompt info for bash and zsh Kubernetes prompt info for bash and zsh. Contribute to jonmosco/kube-ps1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022.06.20 알게 되어 세팅해본 방식입니다. 기존 zsh-kubectl-pro..

tomcat을 실행할 때 환경변수를 적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bin/setenv.sh 파일을 만들어서 거기다가 환경변수를 넣어주면 됩니다. 환경변수 잠깐 환경변수에 대해 짚고 넘어가 보면요. 환경변수는 jvm이나 tomcat,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적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설정은 JVM Max Heap Size를 4G로 설정하고 JMX설정을 활성화합니다. export CATALINA_OPTS="-Xmx4G \ -Dcom.sun.management.jmxremote \ -Dcom.sun.management.jmxremote.port=9090 \ -Dcom.sun.management.jmxremote.authenticate=false \ ..

유닛 테스트 하나 돌릴 때마다 common 모듈 빌드에 20초가량 먹고 시작해서 어떻게 개선해야 될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일단 querydsl 관련해서 clean 하고 compile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는데 평소에 컴파일해두고 수정사항 생길 때만 자동으로 부분 빌드해 주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기존에 작업하시던 분들께 관련해서 여쭤보니 개선방법이 나왔습니다. 바로 cmd + , (Preferences) Gradle 빌드 과정이 생략되어서 수십 초 정도를 아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https://jojoldu.tistory.com/450 글에도 잘 정리가 되어있었습니다. IntelliJ 2019.2 에서 Gradle로 run과 test가 실행될때 인프런 강의를 ..

클린코드 "10장 클래스"의 내용에 클래스 내부 작성 순서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표준 자바 관례 (Standard Java Convention)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한다고요. 1. static public 상수 2. static private 변수 3. private instance 변수 (public 변수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음) 4. public method - private method는 자신을 호출하는 공개 함수 직후 정말 그렇게 적혀있는지 궁금해서 표준 자바 관례 (Standard Java Convention)에는 어떻게 적혀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codeconventions-fileorga..

IntelliJ에서 build.gradle파일을 열어 보니 설정들이 회색으로 나오고 마우스를 올려보면 "No candidates found for method call plugins."라고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gradle 설정을 수정하려고 하는데 IDE의 기능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해결 방법은 Help -> Find Action...(Shift + Cmd + A)를 누르고 "Reload All Gradle Projects"를 실행하면 됩니다. 지금 제가 사용하는 2021.3에서는 "Reload All Gradle,sbt,BSP Projects"라고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