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이야기 (529)
준호씨의 블로그

startDate에서 endDate까지 하루씩 순서대로 생성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방법과 관련 팁들을 정리합니다. 시작일에서 종료일까지 하루씩 출력 - LocalDate의 datesUntil 사용하기 2022-12-27~2022-12-30을 순서대로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LocalDate.of(2022, 12, 27) .datesUntil(LocalDate.of(2022, 12, 30).plusDays(1)) .forEach { it -> println(it) } datesUntil의 값 직전까지만 돌기 때문에 plusDays(1)을 해서 하루를 더해주어야 합니다. 출력결과입니다. println으로 출력해서 한 줄에 하나씩 출력됩니다. 2022-12-27 2022-12-28 202..

date에는 timestamp변환 기능이 없기 때문에 date를 datetime으로 바꾼 다음 timestamp() 함수를 이용합니다. from datetime import date, datetime def date_to_timestamp(dt: date): return datetime.combine(dt, datetime.min.time()).timestamp() >>> date_to_timestamp(date.today()) 1669561200.0 덧. Unix timestamp (Unix epoch = Unix time = POSIX time)는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부터 몇 초가 지났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참고 https://www.epochconverter.com/

문자의 길이를 구할 때 사용하는 함수로 LENGTH와 CHAR_LENGTH가 있습니다. 다음 결과를 보면 length는 문자열의 bytes를 char_length는 문자열의 문자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elect length('안녕하세요'), # 15 char_length('안녕하세요'); # 5 insert 문과 char_length 대충 아래와 같이 contents와 contents의 길이를 저장하는 테이블이 있습니다. CREATE TABLE articles ( id INTEGER NOT NULL auto_increment, contents text, length bigint comment 'char_length of contents', PRIMARY KEY (`id`) ); 만약..

지난번 포스팅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OSX - M1 개발환경 오류 - [FAILED_TO_LOAD_NATIVE_LIBRARY] no native library is found for os.name=Mac and os.arch=aarch6. #g 얼마 전 지급받은 M1맥북에서 개발환경을 세팅하면서 겪은 이슈들을 하나씩 적어보려고 합니다. Spring Boot 2.5.xx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인데 서비스를 구동시키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 junho85.pe.kr 서비스를 구동했을 때 발생했던 또 다른 오류입니다. 2022-08-09 19:12:10.886 ERROR 33264 --- [ main] i.n.r.d.DnsServerAddressStreamProviders : Unable to load ..

얼마 전 지급받은 M1맥북에서 개발환경을 세팅하면서 겪은 이슈들을 하나씩 적어보려고 합니다. Spring Boot 2.5.xx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인데 서비스를 구동시키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2022-08-09 19:32:09.007 ERROR 34738 --- [container-0-C-1] o.s.k.l.KafkaMessageListenerContainer : Error while stopping the container: org.xerial.snappy.SnappyError: [FAILED_TO_LOAD_NATIVE_LIBRARY] no native library is found for os.name=Mac and os.arch=aarch64 ... 문구를 보면 os.name=M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