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066)
준호씨의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U61F/btqzusWQfdN/lGo5dMHHZTnT4jEXJkjIh1/img.png)
GitHub Contributions 차트 기본 모습은 이렇게 나옵니다. 그런데 종종 이걸 3D 로 보시는 분들이 계셔서 알아 보니 크롬 플러그인을 설치 해 주면 되는거였습니다. Isometric Contributions 라는 플러그인입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isometric-contributions/mjoedlfflcchnleknnceiplgaeoegien Isometric Contributions Renders an isometric pixel view of GitHub contribution graphs. chrome.google.com 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본 Contributions 챠트 입니다. 뽀대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0QqS/btqzttu20T0/pg7DySTOsUCRSpvZ9Ic5G1/img.png)
간단히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봅니다. spring-boot-start-mail를 이용할 겁니다. 언어는 kotlin을 쓰고 빌드 툴은 gradle을 사용합니다. curl https://start.spring.io/starter.zip -d type=gradle-project -d language=kotlin -d bootVersion=2.2.0.RELEASE -d baseDir=mail -d groupId=kr.pe.junho85 -d artifactId=mail -d name=mail -d description=Demo%20project%20for%20Spring%20Boot -d packageName=kr.pe.junho85.mail -d packaging=jar -d javaVersion=1.8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1zRK/btqzth9o8Wo/HsaGeNg2XAXByMJ4PZTAZk/img.png)
터미널 환경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커맨드라인으로 IntelliJ 를 실행하면 편리하겠죠? 요즘 커맨드라인으로 프로젝트 뼈대도 뚝딱 만들어 주는 유틸들이 많은데 프로젝트 뼈대 먼저 만들고 IDE 를 연결해주고 싶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IntelliJ - Tools -> Create Command-line Launcher... 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예전에는 여기서 만들었다는거 같은데요. 요즘은 Toolbox App 에서 만들라고 합니다. Toolbox 가 뭐냐하면 요런 프로그램입니다. JetBrains 의 툴들을 쉽게 설치 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죠. 자주 사용하는 프로젝트들도 쉽게 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무튼 설치 다 했으면 우측 상단에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들어가보면 Generate s..
MacOS Catalina 로 업그레이드 후 brew 로 설치했던 apache httpd 가 또 문제를 일으키네요. 이번에도 brew 로 apache 를 시작시켜 보면 잘 돌아 가는거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동에 실패 하였습니다. $ brew services restart httpd Stopping `httpd`... (might take a while) ==> Successfully stopped `httpd` (label: homebrew.mxcl.httpd) ==> Successfully started `httpd` (label: homebrew.mxcl.httpd) 에러로그를 확인 해 봅니다. $ tail -f /usr/local/var/log/httpd/error_log ... [Mon Oct..
톰캣을 설치 하려면 http://tomcat.apache.org/에서 다운 받아서 설치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미 tomcat 6 버전은 공식지원에서 제외된 상태라 Download 에서 Archives 에 들어가서 받아야 됩니다. v6.0.53 을 설치 하고 싶으시면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6/v6.0.53/bin/에 가서 받으면 됩니다. 저는 맥에 설치 할 거라 tar.gz 로 된 것을 받았습니다. 클릭해서 다운 받아도 되고 터미널에서 wget 커맨드 등으로 받아도 됩니다. 터미널에서 받으려면 wget 커맨드가 무난합니다. $ wget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6/v6.0.53/b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