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서 (2)
준호씨의 블로그

요즘 스프링으로 프로젝트를 하면서 이런저런 지식들을 습득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스프링으로 프로젝트하시던 분들이 swagger를 이용해서 API문서를 만들던 것을 보고 swagger라는 것에 대해 듣게 되었었는데요. 다만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했었습니다. springfox-swagger라고 적힌 걸 보고 그냥 같은 녀석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요. 알고 보니 springfox-swagger와 swagger랑은 다른 녀석이었습니다. 물론 관련은 있지만요. Swagger Swagger는 2011년에 처음 릴리즈 되었습니다. Swagger는 RESTful 웹 서비스를 만들 때 API의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고, API를 직접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웹 UI툴을 제공해줍니다. https://swagger...

어쩌다 보니 2012년부터 몸담고 있던 부서를 떠나 다른 부서로 가게 되었습니다. 다른 부서로 가기 전에 인수인계를 위해 문서를 작성하고 있는데 쉽지 않네요. 그나마 다행인 건 부서 이동이니 이동 후에도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어쩌면 단점일 수도 있습니다. 인수인계가 미비하면 다시 연락을 받을 일이 많아질 수 있을 테니까요. 아무튼 최대한 잘해두고 가는 게 후일에 도움이 될 거라 열심히 작성하고 있습니다. 인수인계 문서는 아마 2009년에 다니던 회사를 퇴사할 때 썼었던 거 같긴 한데 오래되어서 기억이 잘 안 나네요. 이후로 별다른 일 없었던 거 보면 인수인계가 잘 되었거나 받아 가신 분들이 알아서 잘했나 봅니다. 이후로 싱가포르에서 인턴십 했을 때는 인수인계 문서를 썼는지 안 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