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 (18)
준호씨의 블로그
2018.11.01 내용 분리shell 프롬프트에 git branch 표시하기 http://junho85.pe.kr/1150우선 .git-completion.bash .git-prompt.sh 파일이 있어야 한다. .git-completion.bash 는 자동완성을 위한 것이고 .git-prompt.sh 는 프롬프트에 branch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해당 파일들은 아래 경로에서 받을 수 있다. https://github.com/git/git/blob/master/contrib/completion/git-completion.bash https://github.com/git/git/blob/master/contrib/completion/git-prompt.sh ~/.bashrc 설정 ~/.bashrc..
git을 커맨드 라인에서 많이 이용하다 보면 git commit ... 처럼 commit 같은 명령어가 타이핑하기 귀찮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타이핑을 줄여 보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svn 유저였다면 더더욱 그런데 svn에서는 svn ci로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git에서도 alias 기능을 이용하면 commit을 ci로 줄여서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커맨드를 한번 실행해 주면 이후로는 git commit ... 대신 git ci ... 를 이용하면 됩니다. git config --global alias.ci commit git 문서에도 아래 네 가지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아래 네 개 정도는 git 설치하면서 같이 세팅해 두어도 좋을 것입니다. (그냥 git에서 기본 지정..
배포 스크립트 구현 할 때 태깅 한 곳의 내용을 가져오고 싶을 때가 있다. github 에서 release 만들면 자동으로 태깅이 되어서 특정 버전을 가져 오고 싶을 수 있다. (요즘 버저닝 하는데 재미 들림) 방법은 간단하다. 그냥 git clone -b 하면 된다. git@github.com:junho85/java_study.git 의 v0.0.1 을 클론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git clone -b v0.0.1 git@github.com:junho85/java_study.git man git-clone 해서 설명을 찾아 보면 다음과 같이 tags 를 사용 할 수 있다고 나와 았다. --branch , -b Instead of pointing the newly created HEAD t..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git checkout HEAD filename checkout 커맨드로 삭제한 파일을 되돌릴 수 있다. 단순히 수정만 한 파일이면 다음과 같이 되돌릴 수 있다. git checkout filename 동영상을 보자
github 에서 commit 내역을 보면 가끔 indent 수정으로 인한 diff 결과가 보기 싫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경우이다. https://github.com/junho85/git-study/commit/06baa82895093dba05c0674598068f3fb55455a0 사실 printf("nice to meet you\n"); 와 return 0; 는 공백만 변경 되었을 뿐 내용의 변화는 없다. #include int main() { - printf("nice to meet you\n"); - printf("hello world"); - return 0; + printf("good to meet you\n"); + printf("nice to meet you\n"); +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