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이야기 (355)
준호씨의 블로그

꽤 오래전부터 맥북을 사용하던 사람들이 종종 알프레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Opt + Space를 누르면 화면 중앙에 검색창이 나타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하지만 Mac OS X에는 Alfred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Spotlight라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습니다.Cmd + Space를 누르면 화면 중앙에 검색창이 나타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얼핏 보면 역할이 비슷한데요.하지만 오늘 알프레드를 설치해 보니 검색 속도가 Spotlight보다 빨랐습니다. 기분 탓인지 제가 찾는 것을 더 잘 찾아주는 느낌이었습니다.참고로 처음에는 App Store에 있는 Alfred를 설치했는데 버전이 1.2더군요.게다가 8년 전에 나온 버전이었습니다. 그래..

웹 브라우징을 하다 보면 종종 전체 화면을 캡처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전체 화면을 캡처해 주는 익스텐션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크롬 브라우저 기본 기능에도 있습니다. 다만 개발자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우측 상단의 more (점 3개) 버튼을 누르고 More Tools -> Developer Tools를 선택합니다. 단축키로 cmd + shift + i를 눌러도 됩니다. (윈도에서는 cmd 대신 ctrl) 개발자 도구가 열리면 cmd + shift + p를 누릅니다. 그럼 아래처럼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capture full size screenshot을 검색합니다. 대충 capture full까지 입력하면 나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진 모르지만 그냥 full만 입력해도 ..

맥을 부팅할 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System Preferences -> Users & Groups로 들어갑니다. 우측에 Login Items탭을 선택합니다. 여기에 등록된 아이템들은 로그인 시 자동으로 열린다고 합니다. (These items will open automatically when you log in:) 아이템을 추가하려면 "+"버튼을 누릅니다. 자동으로 실행시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Add"버튼을 누릅니다.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었습니다. 기타 부팅 시 자동 실행되면 유용한 앱들은 자체적으로 해당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AutoMute앱의 경우 "Lauch at Login"을 선택해 두면 로그인 시 앱이 자..

트렌드 코리아 2021 책을 보다가 문득 유튜브가 원래 온라인 데이트 서비스였다는 내용을 보게 되었습니다. 유튜브가 애초에 온라인 데이팅 영상 사이트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처음 듣는 이야기라 깜짝 놀랐습니다. 이 내용의 출처가 있더군요. 너 그거 알아? 유튜브는 원래 온라인 데이트 서비스였어 스티브 첸(Steve Chen) 유튜브 창업자가 18일 방한해 창업을 꿈꾸는 청년 사업가를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역삼동 구글코리아 본사에서 진행된 이날 강연에서 첸은 유튜브 창업과 매각에 관련 it.donga.com 2014년 기사입니다. 초기에 1주일 정도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를 제공했었다고 하네요.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를 관두지 않고 계속했었다면 유튜브는 지금과는 다른 모습이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논문의 DOI(The Digital Object Identifie)를 입력하면 손쉽게 논문을 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Sci-Hub라고 하는데요. 2011년 카자흐스탄의 대학원생 알렉산드라 엘바키얀이 출판사에 논문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에 반발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기존에 sci-hub.org로 운영했었으나 엘제비어라는 출판사에서 저작권 침해로 고소를 하여 sci-hub.org 도메인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른 도메인들로 운영하고 있는데 종종 도메인이 바뀌곤 하는데요. 바뀐 도메인은 구글에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에서도 확인 할 수 있고요. en.wikipedia.org/wiki/Sci-Hub Sci-Hub - Wikipedia From Wik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