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호씨의 블로그
벼르고 벼르던 램을 드디어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26일 아침에 질렀고 27일 밤에 도착~! 가격은 4만원x2 + 택배비3천 해서 83,000원들었습니다. 그런데 하루 사이에 또 천원 떨어졌더군요 ^^; 램값이 정말 끊임없이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1기가램이 이가격 했던게 엊그제 같고 512램을 많이 싸졌다고 12만원 정도에 샀던게 얼마전일인거 같습니다 ^^; 기존에 램을 2기가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부족함이 많이 느껴지더군요. 물론 기본 설정으로 사용했다면 그다지 부족한 용량은 아닙니다. 하지만 좀 더 원활한 컴퓨팅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가상메모리 제거에 램디스크, Super Cache니 뭐니 이런저런 세팅을 많이 하다 보니 2기가 정도는 금방 사용해 버리더군요. 덕분에 조금만 컴퓨터 하다보면 메모리가 부족..

최근 웹 개발시 Firefox2 브라우저에 FireBug 1.05 플러그인을 깔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전에도 Web Developer 1.1.4 플러그인을 깔아 사용해 왔었지만 Web Developer는 자바스크립트 볼 때나 레이아웃 확인시 조금 쓰고 요즘은 FireBug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FireBug사용모습입니다. 다양한 기능과 깔끔한 디자인에 감탄사를 몇번 연발했는지 모르겠네요 ^^; 그런데 Internet Explorer에도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IEDevToolBar 입니다. 아래의 주소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E59C3964-67..
자~ 이번에도 일단 결론부터 적어 본다 SELECT @@AUTOCOMMIT; // AUTOCOMMIT 여부 확인 SET AUTOCOMMIT = TRUE; // AUTOCOMMIT 설정 SET AUTOCOMMIT = FALSE; // AUTOCOMMIT 해제 COMMIT; // 커밋 ROLLBACK; // 롤백 다른건 명령어는 어느정도 추측이 가능했지만 AUTOCOMMIT 여부 확인은 MySQL을 잘 알지 않는 이상 쉽게 추측하긴 좀 힘들법하다. 나도 골뱅이(@)하나까지는 넣어봤지만 원하는 값이 안나와서 인터넷 찾다 보니 골뱅이를 두개 넣어야 된다고 나온걸 발견할 수 있었다. MySQL에서는 일반적으로 환경변수를 얻어 올때 골뱅이를 두개씩 넣는것 같다. 환경 MySQL : 5.0.27 DB Engine :..
학교 도서관에 책을 빌리러 갈때면 필요한 책 외에도 랜덤하게 책을 한두권씩 더 골라 오곤 한다. 이번에 걸려든(?)책은 바로 Web Usability 보이지 않는 디자인 웹유저빌리티 실천 가이드 바로 이 책이다. 이 책 읽고 후기 적다 만게 3달 정도 지난거 같다 -ㅅ-; 왜냐하면 적다가 적었던 내용을 날려 버렸기 때문이다 ㅠㅠ 현재의 추세랑 맞지 않는 내용도 좀 있긴 하지만 한번쯤 읽어 볼만한 책이다. 지금은 나오고 있지 않은 책이므로 도서관에서나 빌려볼 수 있을 것이다. 헌책방 검색하다 한권 발견 되어서 일단 한권 사뒀다.
Subversion으로 버전관리를 하던 도중 갑자기 서버 IP가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1. 최선의 방법은 이미 CheckOut받은 파일들의 IP설정을 바꿔주는 툴을 이용해서 바꾸는 방법 2. IP설정된 파일들을 직접 바꿔주는 방법 3. 새로 CheckOut 받기 라는 해결책들을 떠올려 보았다. 그러나 예전에 TortoiseCVS써본 경험상 기본적으로 경로를 바꿔주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기에 IP가 저장된 파일들을 직접 바꿔주거나 새로 CheckOut을 받아야 되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예전에 CVS에서는 딱히 IP바꿔주는 기능이 보이지 않았기에 새로 체크아웃하거나 숨겨진 폴더에 있는 설정파일들의 IP를 다 바꿔주어야 되는가 아닌가 싶었는데 예상과는 달리 TortoiseSVN에는 Relocate라는 경..
일단 결론 부터 말하자면 아래의 함수이다. function addEvent(obj, type, fn) { if (obj.addEventListener) obj.addEventListener(type, fn, false); else if (obj.attachEvent) { obj["e"+type+fn] = fn; obj[type+fn] = function() { obj["e"+type+fn]( window.event ); } obj.attachEvent("on"+type, obj[type+fn]); } } 익스플로러에 대한 처리가 이전에 봤던 이벤트 처리랑 좀 다른게 있는데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참고자료는 CDK Standard Magazine Forum 글을 참고했다. http://forum.stan..
요즘 자바로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데 내부적으로 로그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로그에는 현재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ServiceId, 어느 함수에서 찍은 로그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현재 함수명을 인자로 넘기고 있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방식이다. log.sysDebug(ServiceId, "execReadList", e.toString());execReadList라는 함수에서 로그를 남기면 두번째 인자로 "execReadList"를 직접 적어주고 있었다. 이렇게 하다보니 로그를 다른 함수로 복사할 때 부주의로 인해 실수(예를 들어 "execCreate"라 적힌 로그를 "execDelete"에 그냥 복사) 가 생기기도 하고 매번 함수명을 확인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 단점을 보완하고자..
2010.07.14 우연히 윈도우7 IE8 환경에서 마이플랫폼이 동작하고 있는걸 보게되었습니다. 모든기능이 원활하게 동작하는지는 저도 제대로 테스트를 안해봤지만 아무튼 신기하네요. 여전히 마이플랫폼 Q&A 게시판에는 지원안한다는 답변이 있던데 말이죠. 참고로 UAC설정을 최하로 낮춰둔 상태입니다 윈+r 로 실행창 띄우시고 "useraccountcontrolsettings" 실행하시면 설정창이 나타납니다. 현재 회사에서 만드는 연구비 시스템을 마이플랫폼 3.10L환경에서 개발중인데 최근 Vista 유저가 늘면서 작동이 안된다는 문의가 들어온다 그래서 Vista에서 테스트해 보기로 하였다. 일단 마이플랫폼 기술지원사이트(http://www.miplatform.co.kr)의 글 검색 결과는 3.20이후에서만 ..
얼마전 회사가 사무실을 이전하고 서버와 도메인 세팅이 이루어 지지 않아 며칠간 회사 도메인으로 연결된 회사홈페이지, CVS, wiki 등등의 서버들을 도메인으로 접속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갑자기 CVS가 안되니 개발중인 프로그램의 버전관리가 안되게 되었다. 다행히 회사 내부 IP로 CVS서버가 오픈되었고 어떻게 CVS서버를 사용할까 여러고민을 하였다. CVS폴더의 Root파일에 지정된 경로를 다 바꿔버릴까 생각하다가 예전에 홈페이지를 만들다가 한가지 팁이 하나 생각났다. 아마 동아리방에서 성철이형에게서 들었던거 같다. 그 내용은 나의 잡다 자료 모음 홈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었다. 주소 : http://hanulso.knu.ac.kr/~junho85/bbs/zboard.php?id=bbs_tip&no..
CodeComplete 2/E 책을 보다가 발견하게 된 CVS활용방법 한가지 소스코드의 버전을 자동으로 출력하게 해주려면 소스코드에서 버전을 출력하고자 하는 부분에 $Id:$를 넣어주면 된다 보통 소스의 제일 상단에 설명을 달아 놓을 때 유용할 거 같다. 자바소스라면 클래스 주석이 되겠지. 다음은 $Id:$사용 방법이다. 아래처럼 /** * @version $Id:$ */를 넣어준 상태로 커밋을 하게 되면 CVS는 버전이 자동으로 들어가게 된다. 변경된 모습을 보도록 하자 /** * @version $Id: PJ031_07.java,v 1.50 2007/09/12 01:18:26 junho85 Exp $ */ 생각나는 장점이라면 우선 현재 버전을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최근 수정자를 금방알 수 있기 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