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호씨의 블로그
어제 리눅스 환경에서 svn 으로 커밋을 하다 보니 author 가 svnadmin 으로 올라가 버리더군요 –_-; root 계정 상태에서 그냥 커밋을 한 탓인지 뭔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일단 커밋을 해버렸으니 작성자를 수정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수정을 시도 해 보았습니다. 몇군데 검색을 해보다가 그나마 Changing svn author property http://home.introweb.nl/d/dodger/svnauthor.html 여기 자료가 가장 근접해 보이더군요. 일단 svn 서버의 리파지토리 폴더로 이동합니다. 거기에 보면 conf dav db format hooks locks README.txt 폴더와 파일들을 볼 수 있고 hooks 폴더로 들어갑니다. post-commit.tmpl ..
폰트 수정 – 맑은 고딕 지난번이라고 하기엔 무척 오래 되었네요. 드디어 폰트를 바꾸어 보았습니다. 나눔고딕이 좀 끌리긴 했었지만 그냥 무난하게 "맑은 고딕"으로 바꿨습니다. 윈도우 비스타 이후 맑은 고딕이 기본 채택되고 불편하다는 말도 좀 보이긴 하지만 블로그 에서는 맑은 고딕이 좀 더 보기 좋은거 같더군요. 맑은 고딕에 대해서는 http://ko.wikipedia.org/wiki/맑은_고딕 내용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맑은 고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굴림체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굴림체가 좀 더 편한 느낌이 나긴 하지만 이미 맑은 고딕에 적응한 탓인지 딱히 불편함을 느끼진 못하겠군요. 레이아웃 수정 폰트도 바꼈고 레이아웃도 좀 수정되었습니다. 글 제목 크기를 많이 키웠구요. 날짜는 위에 올라 가..
블로그 기본 스킨을 이리저리 수정하다 보니 어느 날부터 IE6에서 사이드바가 깨져 나오더군요. (IE7, IE8, FF 등에서는 잘 나왔습니다.)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가 “#header. blogTitle 의 padding-bottom:25px;” 를 추가해 주니 괜찮아 지더군요. IE6에서 깨지던 것이 sidebarL 이 제일 왼쪽에 붙지 않고 blogTitle 오른쪽에 붙어 나오던 문제였기 때문이죠. 그나저나 이 칙칙한 블로그 디자인을 좀 바꿔봐야겠습니다. 블로그 디자인이 좀 개선되면 좀 더 블로그를 할 의욕이 생기지 않을까요? 일단은 폰트부터 좀 바꿔볼까 합니다. 네이버의 나눔고딕이 좀 끌리는 군요. +_+ http://hangeul.naver.com/index.nhn?goto=fonts 제 미..
그동안 무료 문자를 제공해 주어 적잖은 도움을 주었던 엄지 위젯이 종료 되는군요 ㅠㅠ 문제점을 보강해서 새로운 버전이 출시 될지도 모른다던데 그 때가 되면 다시 설치해 봐야겠습니다. ^^ 일단은 애드찜에서 제공하는 위젯을 잘 활용해 보아야 겠군요.
서브버전과 관련된 자료들 정리 중입니다. SERVER 설정 관련 형상관리(버전관리)프로그램 중 서브버전의 서버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축이 가능합니다. TortoiseSVN 설치 후 Create repository here 을 이용 사이트 : http://tortoisesvn.net 접근 방식 예 : file:///C:/Repository/test 참고할만한 글들 09 서브버전(Subversion) 윈도우 서버 설치 http://kkamagui.springnote.com/pages/585605 Subversion 서버 설치 사이트 : http://subversion.tigris.org/ 접근 방식 예 : svn://localhost/test VisualSVN 서버 설치 사이트 : http://www.visu..
어느 날 문득 도메인관련 정보를 찾다가 http://whois.nida.or.kr/ 페이지에 들어갔는데 Whois Open API 가 눈에 띄더군요. 작년 언젠가 부터 지원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왼쪽 메뉴의 Whois Open API 배너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신청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E-Mail과 사용목적을 입력하면 신청확인용 이메일이 날아옵니다. 이제 인증을 받고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XML규격의 데이터를 전송 받게 됩니다. 입맛에 맞춰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는 사용안내 페이지 입니다.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OpenAPI를 제대로 사용해 본적은 없습니다. 일단 php와 jQuery, Ajax를 이용해서 간단한 테스트를 해봤는데..
멋진 영상이 있어 퍼왔습니다. 김창준님의 블로그 포스팅은 http://agile.egloos.com/4811209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아직 김창준님이 어떤분인지 잘 모릅니다. 모습을 몰랐기에 머리긴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었습니다 ^^; 생각했던 이미지랑은 좀 달랐기 때문이죠. 예전에 동아리선배님이 XP(Extream Programming)에 대해 설명을 해준적이 있었고 그 후 인터넷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볼 때 김창준님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었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변화를 표용하라 2판”책을 사서 보게 되었는데 옮긴이에 김창준님이 있었습니다. 제가 아는 부분은 거기까지였죠. XP에 대해서 잘 아는분으로 생각하고 있었죠. 오늘 우연히 블로그들을 좀 돌아다니다 보니 이 동영상이 있더군요. ht..
지난달 kfmes 형을 만났는데 우연히 노트북에 설치 되어져 있던 Dock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AquaDock을 소개 받아 사용했었는데 이번엔 다른 Dock 을 사용중이시더군요. 개인적으로 최근에는 ObjectDock 을 사용해 보았었는데 괜찮긴 했지만 약간 무거운 기분도 들었고 일단은 상용이라는게 좀 걸리더군요. 그래서 일단 노트북에 RocketDock 을 설치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http://rocketdock.com 여기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더군요. 현재 최신버전은 1.3.5버전이었습니다. http://rocketdock.com 사이트 첫페이지에서 프로그램 소개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쪽 Features 에 주요 기능들을 볼 수 있는데 Minimize windows to the do..
요즘 소프트웨어기술자신고니 뭐니해서 자격증 검정 사이트에서 자격증을 조회해보다가 문득 어릴적에 태권도 학원에 다녔던 기억이 나더군요. 그래서 혹시나 인터넷에서 품증 조회가 가능한가 싶어서 찾아보니 국기원홈페이지에서 유품단조회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더군요 ^^ 국기원홈페이지 http://www.kukkiwon.or.kr 가운데 유품단조회를 클릭 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이 나타나고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품증이나 단증을 발급받으려면 각종 증명서 신청 클릭을 하면 되는데 품증발급 신청시 품단전환을 통해 단증으로 변환이 가능한거 같더군요. 일단 돈이 들고 지금은 발급 받을 필요가 없는 관계상 신청은 하지 않았습니다 ^^; 언젠가 필요한 날이 올랑가 모르겠네요 ^^;

오랜만에 음악 CD를 컴퓨터에 집어 넣고 Media Player를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음악을 잘 듣는 편도 아니고 미디어 플레이어도 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예전 기억에 WinAmp나 알송 등의 플레이어에 비해 무겁다는 기분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버전은 11입니다. 꾸준히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었더군요. 문득 보이는 기능은 리핑 기능이었습니다. 이 부분은 적당한 한국어로 번역이 되어 있으면 좋을텐데 그냥 리핑이라고 하니 못알아 먹을 사람도 많을거 같네요. 차라리 “립핑”이 더 낫지 않을지 모르겠네요. 인터넷 영화 파일중 립버전이라는게 많으니 립핑이라고 하면 좀 더 이해하기 좋지 않을까 싶네요. 일단 리핑을 해보니 “내 음악”폴더에 wma파일로 저장이 되더군요. 혹시나 해서 mp3로 리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