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068)
준호씨의 블로그

LLM 모델을 테스트해 볼 때 제가 주로 사용하는 질문은 "구구단 프로그램을 만들어줘", "세종대왕의 맥북던짐 사건에 대해 이야기해 줘" 같은 질문들입니다. 좀 새로운 질문들을 해 보면 좋겠다 싶어서 Claude에게 "LLM 모델을 테스트해 보기 좋은 질문 추천해 줘"라고 질문해 보았습니다. 복잡한 추론: "지구 온난화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경제적 결과를 설명해 주세요."창의성: "고양이와 우주여행을 주제로 한 단편 소설의 줄거리를 만들어보세요."다국어 능력: "'사랑'이라는 단어를 5개 다른 언어로 번역하고, 각 문화에서 그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주세요."수학적 문제 해결: "복리 이자로 연 5%의 이율을 적용할 때, 1000만 원이 2000만 원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

Alfred와 IntelliJ를 사용한다면 다음 워크플로우를 사용하면 JetBrains 툴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들을 손쉽게 열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bchatard/alfred-jetbrains GitHub - bchatard/alfred-jetbrains: Alfred5 workflow to easily open your projects with your favorite JetBrains product.Alfred5 workflow to easily open your projects with your favorite JetBrains product. - bchatard/alfred-jetbrainsgithub.com IntelliJ 프로젝트들은 idea 키워드로 손쉽게 찾을 수..

2024.07.31 국립국어원에 문의했었습니다. Entity의 외래어 표기법은 심의된 바가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하지만 유사한 단어의 심의 용례를 참고하면 '엔티티'로 적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영어사전의 발음기호를 보면 실제 발음은 '엔터티'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참고2019.06.24에 다른 분이 문의했던 기록이 있네요. 여기에는 좀 더 자세한 답변이 있습니다.https://x.com/kr_twer/status/1142964822880821248> 표기가 'I'인 모음의 발음 기호가 약화된 모음인 [ə]로 나타나는 경우, 약화되기 전대로 표기합니다. identity 역시 발음기호는 [ə]라고 적혀 있어서 실제 발음상 '아이덴터티'가 되겠지만,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아이덴티티'라고 합니다.

컨플루언스 위키 - Confluenct Wiki* 입력해서 목록 만들기 가능단축키: Ctrl + Shift + B (맥 Cmd + Shift + B)Bullet의 첫 글자인 B를 따서 단축키를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독스 - Google Docs* 입력해서 목록 만들기 가능단축키: Cmd + Shift + 8Shift + 8 누르면 * 이 나옵니다. * 은 bullet을 의미합니다. 이런 의미로 단축키를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티스토리 에디터* 입력해서 목록 만들기 불가능단축키: Opt + Cmd + 4 (누를 때마다 일반 bullet, 빈 bullet, 숫자, 취소 순으로 바뀝니다.)단축키에 특별한 의미는 없고 1,2,3,4,5 순서대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입니다.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그리고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Jupyter Lab은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원격 서버에서 무거운 작업을 처리하고자 할 때, Jupyter Lab을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격 서버에서 Jupyter Lab을 실행하고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하겠습니다.1. Jupyter Lab 설치원격 서버에 Jupyter Lab을 설치합니다.$ conda install -c conda-forge jupyterlab 만약 conda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pip로 설치합니다.$ pip install jupyterlab 설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문서를 참고합니다. 2. Jupyter Lab 설정 파일 생성기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