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068)
준호씨의 블로그

WSL2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외부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를 사용하면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WSL2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하기 때문에, WSL2 내부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예: 웹 서버)에 외부 클라이언트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면 외부 클라이언트가 WSL2의 서비스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WSL2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려면, 윈도우의 netsh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습니다.WSL2 IP 확인먼저, WSL2의 IP 주소를 확..

Google Drive에서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방법으로 draw.io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draw.io를 이용해서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Google Drive에 자동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Google Drive에 draw.io 설치Google Drive에서 다이어그램을 그리기 위해서는 먼저 draw.io 애드온을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 단계들을 따라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Google Drive에 접속한 후 우측 상단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버튼은 "Get Add-ons"을 통해 Google Drive에 다양한 애드온을 추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Get Add-ons"을 클릭하면 Google Workspace Marketplace가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다양한 애드온을 검..

요즘 LLM을 이것저것 시험해 보고 있습니다. 맥에서 ollama를 종종 시험해 보곤 하는데요. 맥의 자원을 아끼기 위해 데스크톱에서 ollama를 구동시키고 맥에서는 데스크톱의 ollama를 호출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성공했는데 설정할 것들이 꽤 많았습니다. WSL2 설정systemd 설정ollama 원격 접속 설정sshd 설정 포트포워딩 설정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 설정 차라리 데스크톱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언젠가 설정 방법들도 포스팅해 볼까 합니다.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맥에서 윈도우 PC에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이 잘 안 되어서 삽질을 했습니다. 결론은 윈도에서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설정 > 계정 관리"에서 "로컬 계정"으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대신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입니다.기존에는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어서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었습니다. 맥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설치하고 윈도우 데스크톱에서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켬"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이 안 되어서 삽질을 많이 했습니다. 결론은 윈도우에서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참고로 저의 환경은 데스크톱은 윈도우10이고, 맥은 Sonoma 14.5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Microsoft의 강력한 유틸리티인 PowerToys를 사용하여 Caps Lock 키를 Esc 키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은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하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고 간편합니다. PowerToys란?PowerToys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무료 유틸리티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그중 하나인 Keyboard Manager를 통해 키보드 매핑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치 방법Microsoft Store나 GitHub에서 PowerToys를 다운로드합니다. 만약 choco를 이용한다면 PowerShell에서 "choco install powertoys"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설치가 완료되면 PowerToys를 실행합니다. Caps 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