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호씨의 블로그
간단한 이미지를 만들려고 하는데 무슨 프로그램을 쓸까 찾아 보았다. 물론 preview (미리보기) 에서 그림판의 기능을 일부 할 수는 있지만 뭔가 정이 안간다. 기능도 부족하지만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프로그램이라는 느낌이 안든다. 포토샵이 있었으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비싸서 사용하기 어렵다. 일단 찾은건 paint brush http://paintbrush.sourceforge.net/ 딱히 고급 기능을 제공 하지는 않는다. 그림판 수준이다. 일단 간단한 이미지는 이걸로 만들어 봐야겠다.
얼마전 서버에 nscd 를 설치 할 일이 있었다. 결국 다시 지우긴 했지만 관련 내용을 대충 정리 해 보기로 한다. nscd 설치는 필수는 아님. 다만 도메인 룩업을 많이 할 경우 nscd 에서 캐싱을 해 주기 때문에 name server 의 부하를 줄여 줄 수 있다. 관련 설명은 linux man page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http://linux.die.net/man/8/nscd nscd - name service cache daemon 설정파일은 기본적으로 /etc/nscd.conf 에 존재 하며 설정 관련 내용은 다음 페이지를 참고 한다. http://linux.die.net/man/5/nscd.conf 다만 java 프로그램인 경우 java 자체적으로 dns caching 을 하기 때문에 ..
프로젝트는 처음 시작 할 때 책의 예제를 기준으로 하다 보니 구 버전의 socket.io 를 사용하고 있었다. 기존 설정이 ~0.9.6 로 되어 있었는데 실제 설치 되는 버전을 확인 해 보니 0.9.17 이었다. 최신 버전은 1.3.7로 확인 된다. (http://socket.io/ 에서 확인) socket.io 사이트에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도 있다. Migration from 0.9 http://socket.io/docs/migrating-from-0-9/ 일단 package.json 의 설정을 1.3.7 로 바꾸고 npm install 그나저나 내 프로그램이 단순해서 그런건지 하위 호환성이 지원 되어서 그런지 프로그램은 잘 동작한다.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보니 io.sockets.emit 을 io.em..
갑자기 USD 0.40 승인 12/04 04:20 ... Amazon web services 라는 문자가 날아옴;; 예전에 aws instance 는 모두 종료 했던거로 기억하는데 갑자기 왜 과금이 되었을까? 일단 instance 상태를 보니 stopped 라고 되어 있어서 terminated 로 바꿔 두었다. 과금 세부 정보를 확인 해 보았다. $0.05 per GB-month of Magnetic provisioned storage - US West (Oregon) 사용량 8.000 GB-Mo storage 가 남아 있어서 그런가? Detach Volume 하고 Delete Volume 해서 삭제. 암튼 12월에도 $0.05 청구될 예정;; 10월 까지는 $0.00 per GB-month of Mag..
요즘 간단히 토이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는 중 https://github.com/junho85/RussianRoulette 모던 웹을 위한 Node.js 프로그래밍 책을 보면서 Ndoe.js 스터디 하면서 만들어 보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개발 동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터디 다다음 챕터 준비자를 뽑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왜 Node.js 를 이용했냐 하면 그날 팀에 Node.js 세미나도 있었고 집에 책도 있고 관심도 있고 겸사겸사) 러시안 룰렛이라고 일종의 제비뽑기 게임이다. 대략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socket.io 모듈을 이용해서 여러 브라우저에서 변화를 같이 볼 수 있도록 함. 아직 기능이 많이 미비하다. 일일커밋(http://junho85.pe.kr/371) 을 하면서 차차 기능을 ..
요즘 블로깅은 에버노트를 이용해서 하고 있다. 윈도우 사용하던 시절에야 그냥 Windows Live Writer 이용하면 간편하게 블로깅이 가능 했었는데 osx 를 이용하고 부터는 딱히 마음에 드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티스토리에 에버노트 플러그인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활성화 시키면 글 쓰기 화면에 "EVERNOTE" 아이콘이 나타난다. 이 버튼을 누르면 에버노트에 작성한 글들 중 "티스토리" 태그가 달려 있는 글들을 불러 오게 된다. 로딩을 하고 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글을 선택하면 글의 "본문"만 자동으로 옮겨 진다. "제목"이나 다른 정보는 넘어 오지 않는 건 좀 아쉽지만 큰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에버노트에 작성할 때 추가 해 둔 이미지도 한번에 불러 오는 것이 가장..
일일 커밋을 해 보자 몇 해 전 부터 새해 계획 중 하나가 1일 1코딩 이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잘 지켜 지지 않았다. 잘 안 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겠지만 탓 하기만 해서야 별로 도움은 안될 뿐. SNS 를 하다 보면 종종 '일일 커밋' 을 한다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다. 나도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 해 보기로 하였다. 참고 할 만한 글들 처음 봤던 글은 Jay Jin 님의 일일 커밋 100일 회고 https://milooy.wordpress.com/2015/10/08/daily-commit/ 요 글이었던 것 같다. 좋은 방법이라 생각은 했지만 그렇게 시간이 지나감. 그러다가 최근 아웃사이더님의 일일 커밋 http://blog.outsider.ne.kr/1141 글을 보게 됨. 여기에 참고할 ..
작년 1월 토비의 스프링 3 책으로 팀원들과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터디를 했었다. (http://junho85.pe.kr/92) 하지만 그 당시 우리팀은 java 를 주력으로 하던 팀이 아니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프로젝트도 별로 없었다. (놀라웠던 점 중 하나는 내가 맡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java 로 되어 있었는데 spring 1.2.8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거. 처음에 이 시스템 맡아서 할 때는 spring framework 를 사용했는지도 몰랐었다.) 그 당시 스터디는 7장 정도 까지 진행 하다가 내가 파견 근무 나가면서 스터디 종료 되어 버렸다. 멤버들도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해 잘 모르고 경험도 별로 없었던 상태라 모르는 부분들을 제대로 짚고 넘어 가기 어려웠다. 아무튼 스터디..
요즘 애기들 콧물이 나서 아내가 콧물 흡입기로 열심히 콧물을 뽑아 주고 있다. (언제 즈음 알아서 코를 풀려나) 콧물을 뽑아 주고 나면 한동안 편안해 한다. 특히 잠 자기 전에 해 주면 많은 도움이 된다. 참고로 지금 사용하는 제품은 약국에서 사온 뺑코3라는 제품이다. 콧물 흡입기를 사용 할 때 주의 할 부분이 없나 좀 찾아 보았다. 일단 제품 설명서에 눈에 띄는 내용은 입을 살짝 벌리게 한 후 사용 콧물이 마른 경우 식염후 1~3방울 넣고 1~2분 후에 흡인 세게 훅 빨아 내는거 보다 살살 오랫동안 뽑는 것이 좋음. 코가 막힌 경우 콧물을 자주 뽑아 주는 것이 애기가 덜 불편하고 코 감기가 빨리 나음 수돗물로 깨끗이 씻은 후 말려서 보관 아이가 출혈 경향이 있으면 금함 면역 기능 저하가는 흡인을 금함 ..
나는 아직 머신러닝에 대해서 잘 모른다. 그냥 기계가 학습해서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활용 할 수 있다 라는 거 정도.최근에는 이름있는 IT 기업들에서 머신러닝 기술을 오픈소스로 풀고 있고 이미 머신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내 주변에 머신러닝이라는 단어가 자꾸 얼쩡 거리는 거로 봐서 언젠가는 직접적으로 무언가를 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이다. 내가 머신러닝에 대해서 처음 접했던 것은 대략 11년 전 인가? 20살 때인가 21살 때 인가 동아리 전시회를 준비 할 때 였음. 2004년인가 2005년 정도 되었을 듯. 사실 그 당시 머신러닝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 없고 뉴럴 네트워크에 대해서만 들어 보았다. 동아리의 고참 선배가 음성인식 기술을 뉴럴네트워크(인공신경망)를 이용해서 구현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