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inux
- PERL
- 맥북
- Java
- 판교
- 인그레스
- OSX
- game
- 카카오
- 닌텐도스위치
- Python
- arduino
- 요리
- 구글
- 유튜브
- Ingress
- Installation
- 공략
- 아이폰
- 클리어
- 게임
- 설치
- 포탈
- IntelliJ
- 프렌즈런
- 맛집
- 이마트트레이더스
- Mac
- Today
- 38
- Total
- 3,148,775
준호씨의 블로그
$ mysql 을 실행하니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lib/mysql/mysql.sock'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무슨 문젠가 했더니 mysqld 가 실행되어 지고 있지 않더군요. $ service mysqld start 로 실행시켜 주니 잘 되네요. 오류메시지만 보면 뭔가 되게 거창한 오류 같은데 mysqld가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라는 말 한마디 더 추가해 주면 좋을 거 같네요. setup 들어가서 System services 에 mysqld 를 활성화 시켜 주면 재부팅시 알아서 시작합니다.
티스토리와 텍스트큐브의 스킨구조는 거의 같기 때문에 텍스트큐브를 설치해서 스킨수정 작업을 하는 중입니다. 그래서 텍스트큐브를 리눅스 서버에 설치 한 후 스킨을 수정하고 있는데 직접 수정을 해보니 적용이 바로바로 안되더군요. 신기한건 수정 한 뒤에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서 저장 버튼을 눌러주고 나니 된다는 겁니다. 참고로 현재 사용중인 스킨이 저장되어지는 경로는 tc/skin/blog/customize/1 입니다. 여기에 있는 skin.html 과 style.css를 수정하면 됩니다. 그래서 뭔가 특별한 처리가 있는 건지 캐쉬처리를 하고 있는가 해서 폴더 구조와 소스코드를 분석하다 보니 tc/cache/pageCache/1 이런 폴더가 존재하더군요. 여기에 916128718.cache 파일이 들어 있더군요...
어제 리눅스 환경에서 svn 으로 커밋을 하다 보니 author 가 svnadmin 으로 올라가 버리더군요 –_-; root 계정 상태에서 그냥 커밋을 한 탓인지 뭔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일단 커밋을 해버렸으니 작성자를 수정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수정을 시도 해 보았습니다. 몇군데 검색을 해보다가 그나마 Changing svn author property http://home.introweb.nl/d/dodger/svnauthor.html 여기 자료가 가장 근접해 보이더군요. 일단 svn 서버의 리파지토리 폴더로 이동합니다. 거기에 보면 conf dav db format hooks locks README.txt 폴더와 파일들을 볼 수 있고 hooks 폴더로 들어갑니다. post-commit.tmpl ..
폰트 수정 – 맑은 고딕 지난번이라고 하기엔 무척 오래 되었네요. 드디어 폰트를 바꾸어 보았습니다. 나눔고딕이 좀 끌리긴 했었지만 그냥 무난하게 "맑은 고딕"으로 바꿨습니다. 윈도우 비스타 이후 맑은 고딕이 기본 채택되고 불편하다는 말도 좀 보이긴 하지만 블로그 에서는 맑은 고딕이 좀 더 보기 좋은거 같더군요. 맑은 고딕에 대해서는 http://ko.wikipedia.org/wiki/맑은_고딕 내용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맑은 고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굴림체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굴림체가 좀 더 편한 느낌이 나긴 하지만 이미 맑은 고딕에 적응한 탓인지 딱히 불편함을 느끼진 못하겠군요. 레이아웃 수정 폰트도 바꼈고 레이아웃도 좀 수정되었습니다. 글 제목 크기를 많이 키웠구요. 날짜는 위에 올라 가..
블로그 기본 스킨을 이리저리 수정하다 보니 어느 날부터 IE6에서 사이드바가 깨져 나오더군요. (IE7, IE8, FF 등에서는 잘 나왔습니다.)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가 “#header. blogTitle 의 padding-bottom:25px;” 를 추가해 주니 괜찮아 지더군요. IE6에서 깨지던 것이 sidebarL 이 제일 왼쪽에 붙지 않고 blogTitle 오른쪽에 붙어 나오던 문제였기 때문이죠. 그나저나 이 칙칙한 블로그 디자인을 좀 바꿔봐야겠습니다. 블로그 디자인이 좀 개선되면 좀 더 블로그를 할 의욕이 생기지 않을까요? 일단은 폰트부터 좀 바꿔볼까 합니다. 네이버의 나눔고딕이 좀 끌리는 군요. +_+ http://hangeul.naver.com/index.nhn?goto=fonts 제 미..
그동안 무료 문자를 제공해 주어 적잖은 도움을 주었던 엄지 위젯이 종료 되는군요 ㅠㅠ 문제점을 보강해서 새로운 버전이 출시 될지도 모른다던데 그 때가 되면 다시 설치해 봐야겠습니다. ^^ 일단은 애드찜에서 제공하는 위젯을 잘 활용해 보아야 겠군요.
서브버전과 관련된 자료들 정리 중입니다. SERVER 설정 관련 형상관리(버전관리)프로그램 중 서브버전의 서버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축이 가능합니다. TortoiseSVN 설치 후 Create repository here 을 이용 사이트 : http://tortoisesvn.net 접근 방식 예 : file:///C:/Repository/test 참고할만한 글들 09 서브버전(Subversion) 윈도우 서버 설치 http://kkamagui.springnote.com/pages/585605 Subversion 서버 설치 사이트 : http://subversion.tigris.org/ 접근 방식 예 : svn://localhost/test VisualSVN 서버 설치 사이트 : http://www.visu..
어느 날 문득 도메인관련 정보를 찾다가 http://whois.nida.or.kr/ 페이지에 들어갔는데 Whois Open API 가 눈에 띄더군요. 작년 언젠가 부터 지원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왼쪽 메뉴의 Whois Open API 배너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신청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E-Mail과 사용목적을 입력하면 신청확인용 이메일이 날아옵니다. 이제 인증을 받고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XML규격의 데이터를 전송 받게 됩니다. 입맛에 맞춰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는 사용안내 페이지 입니다.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OpenAPI를 제대로 사용해 본적은 없습니다. 일단 php와 jQuery, Ajax를 이용해서 간단한 테스트를 해봤는데..
멋진 영상이 있어 퍼왔습니다. 김창준님의 블로그 포스팅은 http://agile.egloos.com/4811209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아직 김창준님이 어떤분인지 잘 모릅니다. 모습을 몰랐기에 머리긴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었습니다 ^^; 생각했던 이미지랑은 좀 달랐기 때문이죠. 예전에 동아리선배님이 XP(Extream Programming)에 대해 설명을 해준적이 있었고 그 후 인터넷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볼 때 김창준님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었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변화를 표용하라 2판”책을 사서 보게 되었는데 옮긴이에 김창준님이 있었습니다. 제가 아는 부분은 거기까지였죠. XP에 대해서 잘 아는분으로 생각하고 있었죠. 오늘 우연히 블로그들을 좀 돌아다니다 보니 이 동영상이 있더군요. ht..
지난달 kfmes 형을 만났는데 우연히 노트북에 설치 되어져 있던 Dock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AquaDock을 소개 받아 사용했었는데 이번엔 다른 Dock 을 사용중이시더군요. 개인적으로 최근에는 ObjectDock 을 사용해 보았었는데 괜찮긴 했지만 약간 무거운 기분도 들었고 일단은 상용이라는게 좀 걸리더군요. 그래서 일단 노트북에 RocketDock 을 설치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http://rocketdock.com 여기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더군요. 현재 최신버전은 1.3.5버전이었습니다. http://rocketdock.com 사이트 첫페이지에서 프로그램 소개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쪽 Features 에 주요 기능들을 볼 수 있는데 Minimize windows to the do..